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제르바이잔과 아제르바이잔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역사, 사회, 국제시사 2020. 10. 1. 15:53
    728x90

    아제르바이잔은(아제르바이잔어: Azərbaycan Respublikası, 영어: Republic of Azerbaijan)은 이란 북쪽, 러시아 남쪽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인 카프카스에 위치한 대부분 아제르바이잔인으로 구성된 공화국입니다.

    면적은 8.6만 ㎢로 대한민국에서 충청남북도를 뺀 면적과 비슷하고 인구는 960만명으로 서울과 비슷합니다. 카스피해에서 석유가 상당히 나며, 카스피해에서 채취된 원유는 아제르바이잔을 통해 서유럽 등으로 보내집니다. 그래서 이 나라는 석유의 혜택을 상당히 보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수도는 카스피해 연안에 있는 바쿠입니다.

     

    그림. 아제르바이잔 국가의 지도와 위치(출처 ; wiipedia.org, 좌측 영토에서 빗금 친곳은 나고르노 카라바흐)

     

    현재 아제르바이잔의 대통령은 일함 알리예프입니다. 그의 부친 헤이다르 알리예프는 아제르바이잔이 소련으로부터 독립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점인 1993년 정권을 잡았으며, 2003년 부친의 뒤를 이어 일함 알리예프가 지금까지 아제르바이잔의 대통령으로 있습니다. 국가 내부에서는 독재에 대한 반발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7년에는 자신의 부인을 부통령에 임명하여 또다시 국내외적으로 빈축을 산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아제르바이잔의 국명은 고대 페르시아 때 이 지방을 다스린 사트라프(지방장관) 아트로파테스의 이름을 딴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이름은 불의 수호자라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역사는 아제르바이잔인(Azerbaijani) 전체를 보고 얘기해야 합니다. 아제르바이잔인 혹은 아제리인은 아제르바이잔과 현재 이란의 북부지방에 걸쳐 거주하는 민족입니다. 총 숫자는 약 2800만명~3500만명으로 여겨지며, 이 중 이란에 1000~2000만 명 정도가 아제르바이잔에 약 900만명 정도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란에 사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의 수를 정확히 유추하기 어려운 것은 이란 자체가 다민족 국가이나 이란인이라는 정체성을 더욱 중요시 여겨 이란 내 소수민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와같은 인종 분포로 아제르바이잔 국가는 아르메니아를 사이에 두고 아제르바이잔 본국과 나히체반이라는 월경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림. 아제르바이잔인의 분포(wikipedia.org 자료를 편집)

     

    아제르바이잔인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으며 아제르바이잔어를 사용합니다. 아제르바이잔어는 터키어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하며, 20세기 초에 터키의 대통령인 케말 파샤와 이란의 왕이었던 레자 샤는 각각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로 통역없이 협상을 했다고 합니다. 아제르바이잔인은 지금의 터키인과 문화 등이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오랜기간 동안 페르시아, 사산조페르시아 등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코카서스 알바니아(Caucasian Albania)라는 국가로 1 세기 경부터 상당한 자치를 누리며 살았습니다. 6세기 경 이슬람 제국이 이 땅을 정복하였고, 11세기 초 셀주크투르크를 건국한 투르크 인들은 이 지방을 거쳐 현재의 터키로 상당수 이주했는데, 이 지방에도 투르크인들이 상당수 거주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아랍인과 투르크인들의 이주와 원래 이 땅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융합되고 이슬람화되면서 아제르바이잔인이 형성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19세기까지 이 지방은 현재 이란(페르시아)의 지배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초 러시아와 이란의 전쟁 후 현재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영토 부분은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고 남쪽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이란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20세기 초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이 성립되면서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이 설립되고 소련의 일부분이 됩니다. 구 소련 당시 아제르바이잔은 석유 매장량으로 말미암아 상당히 중요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림. 전통의상을 입은 아제르바이잔인들(출처 : www.azernews.az)

     

    1991년 소련이 붕괴되고 아제르바이잔도 독립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구 아제르바이잔 자치공화국 중 나고르노 카라바흐는 아르메니아인들이 다수인 지방이었고, 결국 아르메니아와의 전쟁 끝에 이 지방에 대해 더 이상 지배를 하지 못하는 처지가 됩니다. 이 전쟁 이후 상당수의 아르메니아인들과 러시아인들이 아제르바이잔을 떠났고, 아르메니아 등지에서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들이 본국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현재 이란의 지도자인 알리 하메네이의 아버지가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축구로 잘 알려진 알리 다에이 역시 아제르바이잔계라고 합니다. 2020년 10월 현재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데요, 평화적으로 잘 해결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