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벼와 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기원, 역사, 특징, 종류, 품종 등)
    일반기술, 자연과학, 세라믹 2020. 12. 27. 19:52
    728x90

    벼의 제배는 약 1만년에서 6천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온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은 아시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발달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청동기 시대에 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벼는 이앙법이 퍼지기 전에는 직접 씨를 뿌려 재배했으나, 조선후기에 수리시설이 많이 개발되고 이앙법이 많이 퍼지면서 논에서 많이 재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조선후기에 만주까지 재배 한계선이 올라갔습니다.

     

    벼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며, 태국, 베트남, 미국이 가장 많이 수출합니다.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들이 수출량이 높지 않은 이유는 보통 생산하는 곳에서 그대로 수입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쌀 소비량이 줄고 있고, 생산량도 1988년 이래로 줄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쌀이 많이 남는 상황이여서, 쌀막걸리, 쌀국수 등 쌀을 이용한 식품 활용을 많이 장려하는 편입니다. 우리나라의 쌀 소비량은 1년에 약 300만톤이며, 매년 그 이상이 생산되며, 2018년 현재 쌀 재고량은 143만톤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1년에 2~3천톤 정도는 수출되고 있습니다.

     

    쌀은 보통 아시아에서 많이 먹지만,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도 쌀을 많이 생산하고 소모하며, 보통 우리나라 사람들도 많이 먹는 리조또나 빠에야 등으로 많이 만들어 먹습니다. 또한 터키에서도 필라으라는 볶음밥을 많이 만들어서 먹는 편입니다. 러시아에서는 흑해연안의 카프카스 산맥 주변에 사는 체르케스인들이 많이 재배해서 먹는 편입니다. 아프리카에서는 마다가스카르에서 주식으로 먹는다고 합니다.

    쌀은 크게 장립종(인디카, Indica), 단립종(자포니카, Japonica)로 나뉘어 지며,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품종은 단립종입니다. 장립종은 주로 베트남, 태국, 인도 등에서 생산되며, 단립종은 중국 북부, 우리나라, 일본, 미국 일부 등에서 생산됩니다. 전세계적으로 장립종이 전체 제배되는 쌀의 90 %가 장립종입니다. 장립종은 일반적으로 단립종보다 찰기가 없는 편으로 알려져 있으며, 단립종에 비해 묘한 향기가 있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장립종을 먹을 경우 적응하는데 조금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와 반면 동남아시아 사람들은 단립종의 쌀을 먹을 경우 입안에 달라붙고 속이 더부룩하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장립종 쌀들을 안남미라고 많이 부르며, 장립종 쌀들은 자스민 라이스, 바스마티 등의 품종이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쌀들의 종류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고시히카리 - 조생종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품질에서 최고로 치는 일본 품종의 쌀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김포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국산 품종 장려를 위해 종자 보급을 줄이고 있습니다.

    추청(아키바래) - 중만생종으로 국내에서 가장 선호된 일본 품종 쌀이며, 가격과 맛이 가장 무난합니다. 추청역시 국산품종 장려를 위해 종자 보급이 중단될 예정입니다.

    신동진 - 전라북도 서부에서 주로 재배하는 품종으로 1990년 개발된 품종으로 전국재배면적 1위의 쌀입니다. 다만 다른 품종에 비해 찰기가 부족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 편입니다.

    새누리 - 2007년 개발된 쌀로 2010년 초중반 전국 재배면적 1위를 차지한 쌀입니다.

    통일, 유신 - 생산성이 높은 쌀로 1970년대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해들미 - 조생종으로, 고시히카리의 대체쌀로 많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히토메보레 - 일본내 쌀 생산량 2위에 해당하는 쌀입니다.

    칼로스 -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생산되는 단립종 쌀로 고시히카리를 미국에서 재배한 쌀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