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전쟁 결과 등역사, 사회, 국제시사 2020. 11. 15. 09:12728x90
최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무력충돌이 있었고, 1달반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최근 아제르바이잔의 승리로 정전협정이 맺어지는 모양새 인대요, 본 전쟁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배경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구 소련을 이루던 공화국으로 1991년 독립한 국가입니다. 두 국가는 비록 옆에 있는 국가이지만, 종교(아르메니아 - 기독교(아르메니아 정교회), 아제르바이잔 - 이슬람교), 언어, 민족 등이 상이한 국가입니다.
문제는 아제르바이잔 내 아르메니아인들이 많이 사는 월경지(나고르노 카라바흐)가 존재하였고, 이곳에 대한 영유문제가 두 국가사이에 발생한 것입니다. 독립 이후 1994년까지 두 나라는 이곳 월경지 때문에 계속 전쟁을 하게 됩니다. 전쟁 결과 아르메니아가 승리하게 되었고, 점령지에 아르메니아는 아르차흐 공화국이라는 자국의 통제를 받는 국가(미승인국)를 만들게 됩니다.
진행
아제르바이잔은 20년 9월 27일 이곳에 다수의 군사력을 집결하여 침공을 시작하게 됩니다. 아르메니아는 수천년간 외세의 침입을 받으며 꿋꿋하게 버텨온 민족이기 때문에 이곳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애국심을 가지고 관심을 가지고 군인으로 참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제르바이잔은 그 동안 석유 등으로 번 돈을 이용하여 군사력을 증강하였고, 전세는 아제르바이잔에 유리하게 진행됩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주 민족인 아제르바이잔인은 터키계 민족으로 아제르바이잔어는 터키어와 어느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유사하다고 합니다. 이번 전쟁에서도 아제르바이잔은 터키에서 지급받은 다수의 무기를 사용하였으며, 터키제 드론 등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그림.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 결과(출처 : www.wikipedia.org 인용, 부분편집) 아르메니아인들은 20세기 초 터키에 의해 학살을 당하기도 하는 등 많은 외세의 침공 등으로 전세계에 많은 디아스포라가 퍼져 있습니다. 미국 정계에도 아르메니아인들이 상당수 있으며, 최근에는 러시아와 협력을 하는 분위기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전쟁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아르메니아에 큰 도움은 되지 못한 듯 합니다.
아르메니아는 전세가 불리해지자 러시아에 도움을 청하는 분위기까지 있었습니다. 11월 10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러시아의 중재로 정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정전협정 결과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 내 구소련 시절부터 존재하였던 아르메니아인 거주지인 나고르노카라바흐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을 20년 12월 1일까지 아제르바이잔에 넘겨주기로 하였습니다. 단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를 연결하는 통로 지역(라친 회랑)에는 러시아 평화유지군 5000명이 주둔하여 감시하기로 하였고 이들은 아제르바이잔의 아르메니아쪽 월경지인 나히체반과 아제르바이잔의 연결 통로도 같이 감시하기로 하였습니다.
결과
정전협정에 대한 뉴스가 발표되자 아르메니아측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현 정권에 대한 퇴진운동도 같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2018년 시위의 결과로 세워진 정부가 2년만에 다시 퇴진의 기로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와 반대로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는 전쟁의 결과에 대해 환영의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의 독재자인 일함 알리예프의 정치적 위상도 당분간 어느정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아제르바이잔에서 생산된 석유는 아제르바이잔-조지아 등을 거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러시아 및 서방으로 공급되는데 이번 전쟁에서 승리하여 파이프라인에 대한 아르메니아의 위협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아제르바이잔이 얻게 된 수확이라는 평가입니다.
'역사, 사회, 국제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티오피아와 티그라이 지방 무장충돌을 알아봤습니다. (0) 2020.11.16 2020년에 당선된 한국계 하원의원2 (미국) (0) 2020.11.15 유럽왕실의 친척관계 - 유럽왕실계보 (0) 2020.11.08 로자바(Rojava)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2020.11.07 2020년에 당선된 한국계 하원의원 (미국) (0) 2020.11.06